부산에 나타난 심해어 돗돔은 일본 대지진 징조일까

부산에 나타난 심해어 돗돔은 일본 대지진 징조일까
부산에 나타난 심해어 돗돔은 일본 대지진 징조일까 썸네일

탐사수, 500ml, 80개
추천인 : AF4039070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당신의 글 읽는 속도를 높여주는 효과적인 유익한 유일한 방법.
지금 할인된 가격으로 수강받아보세요.

추천 코드 - 3ec72d4a

평생 한 번을 보기 쉽지 않은 전설의 물고기.
돗돔이 올해 들어서 부산에서 5마리 잡혔다.
이에 이목을 끌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24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렇다.

전날 부산 인근의 대한해협 한복판.
이곳에서 길이 170cm, 무게 100kg 정도의 초대형 돗돔이 잡혔다.

낚싯대를 붙잡은 성인 남성 둘이 약 10분 정도 사투를 벌였다.
결국 수면 위로 돗돔이 모습을 드러냈다.

돗돔은 수심 400~500m 이상 깊은 바다에서 서식한다.
이에 만나기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전설의 심해어로 불리는 중이다.

매년 30마리 정도밖에 잡히지 않는다.
이에 용왕이 점지한 사람만 잡을 수 있단 말이 있다.

돗돔을 낚은 선장 김광효는 이렇게 전했다.

10년 이상 돗돔을 쫓아다녔다.
올해처럼 많이 잡힌 건 처음이다.
한 번에 3마리 그다음엔 1마리씩 모두 5마리를 붙잡았다.

이처럼 돗돔이 출현하는 이례적인 이유.
그건 오는 7월 일본 대지진 전조가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다.

최근 사흘동안 일본 해역에선 지진이 300 차례 이상 발생.
현지의 불안감도 상승하는 중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런 주장을 선을 그은 상태다.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박정호는 이렇게 전했다.

심해어랑 지진의 연관성.
이것은 속설일 뿐이다.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출현이 늘었다고 해도 지진 영향이라고 보는 건 쉽지 않다.

부경대 환경지질학과 교수 김영석은 이렇게 전했다.

만약에 일어난다면 난카이 지진은 100~150년 정도 주기로 발생한다.
지금은 70~80년 정도밖에 안 됐다.
재발 주기가 아직 안 된 것이다.